01.고귀한(3-10).hwp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terior Design Vol.22 No.3 Serial No.98 _ 2013. 06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제22권 3호 통권98호 _ 2013.06 127 리처드 마이어 건축에 표현된 바로크적 특성 연구 * A Study on the Baroque Characteristics Expressed in Architecture by Richard Meier Author 한명식 Han, Myoung-Sik / 정회원, 대구한의대학교 실내건축학과 부교수 Abstract Baroque is fundamentally in contrast with renaissance style classicism, which attempted to fix a world view itself as the value of perpetuity. Furthermore, it is interpreted as a topic of incompletion or transformation that is not defined or is not exemplary and which may be enjoyed by people in the classical life, which requires a microscopic concept in contrast with dualism, the central axis of western civilization, namely, rational lucidity. Also, such characteristics are estimated to serve as a lubricant in life while going beyond the formal aesthetic level of art even from a contemporary perspective, and to play a productive role and to have potential. Consequently, this paper assumed that the concepts expressed by the 20th century US contemporary architect Richard Meier of a complex space, namely architectural formative vocabularies such as overlapping, interpenetration, collision, and collage style mixture created by a layered structure, in his architecture are in common with the double surface technique and juxtaposition of a flat structure of Baroque architecture. Then, the paper analyzed and considered the characteristics. The paper considered the following two issues: Such Baroque style formal principle is reinterpreted against a backdrop in which his architectural flow based on the domino theory of Le Corbusier became established as his own unique architectural feature, and it may be proposed as one big flow that enables us to seek again modernistic architecture that attempts to make an architectural space absolute as an atypical formal contour. Keywords 바로크, 리차드 마이어, 복합공간 Baroque, Richard Meier, Complex Space 1. 서론 1.1. 연구의 목적과 방법 에우헤니오 도르스(Eugenio D’Ors)는 바로크를 일컬 어 시대와 장소를 막론하고 언제든 다시금 나타날 수 있 는 보편적 경향으로써 문화의 새로운 참조 틀이 될 수 있음을 피력 하였다. 1) 이는 바로크가 17세기라는 일정 시대의 문화적 현상으로써의 양식적, 예술사적 의미를 넘어서, 그것 자체로서 하나의 정신적 자유의지를 내포 하며, 예술분야뿐만 아니라 인간 본성의 총체적인 문제 와 연결될 수 있는 하나의 철학적 담론의 틀로서 해석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또한 그는 바로크를 일컬어 ‘인간의 부분적 자화상’이라고 하며, 자기 존재의 속박과 제약으 로 부터의 해방을 지향함으로써 궁극적으로는 예술의 사 회적 기능과 개인적 향유사이의 미학적 내면화에 접근  * 이 논문은 2012년도 대구한의대학교 기린연구비 지원에 의한 것임. 할 수 있음을 강조하였다. 즉 존재의 심연에서 솟구치는 원시적 생명력, 인간의 정념이 도달할 수 있는 광란의 극한, 충동적인 움직임, 자유를 향한 몸부림, 카오스적인 혼돈 등을 역설적인 알레고리로 채택함으로서 시대적 공 허함을 진통시키고자 했던 예술가들의 의지가 바로크 미 학을 형성시키는 데에 중요한 배경으로 작용하였다는 것 이다.1) 이처럼 바로크는 세계관 자체를 영원불멸의 가치로 고 정시키려한 르네상스적 고전주의와는 근본적으로 대비되 는 개념으로 이해 될 수 있다. 아울러 서구 문명의 중심 축이었던 이원론과도 대립되는 미시적 개념, 즉 이성적 명징함이 요구되는 고전적인 삶 속에서 인간이 누릴 수 있는 규명되거나 모범적이지 않은 미완성, 또는 변형이 라는 주제로 해석되었다. 이러한 특성은 바로크 옹호주 의자들로부터2) 예술의 형식미학적 차원에서 탈피하여 1) Eugenio d'Ors, Le Baroque, Barcelona, Tecnoc, 1993, p.17 2) 도르스를 비롯한 뵐플린(Heinrich Woelfflin)과 구를리트(Cornelius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제22권 3호 통권98호 _ 2013.06128 삶에 윤활유와 같은 개념으로 작용하고, 생산적 역할과 가능성을 가진다고 평가되었다.3) 이른바 바로크의 가치 를 정형화되지 않은 틀 속에서 상대적이고 유동적인 형 태미학으로 활용할 수 있다고 간주 하였다. 격변하는 현 재의 삶 속에서 사회와 문화적 변위성을 충족시키기 위 한 수단으로서의 바로크가 유용할 수 있으며, 그리고 그 자체가 완전함으로 고정된 세계가 아니라. 자연과 인류 문명의 유동적인 흐름처럼 본연의 리듬으로서 그 질서를 패턴화 할 수 있다는 개념이다. 따라서 본 논문은 미국을 대표하는 3세대 건축가 리처 드 마이어(Richard Meier)가 그의 건축에서 표현하였던 겹 구조에 의한 중첩, 상호관입, 충돌, 꼴라주적인 혼성 등과 같은 건축적 조형어휘가 바로크 건축의 이중 표피 기법, 평면구조의 병치기법 등과 공통점이 있음을 상정 하고 그 특징에 대하여 고찰할 것이다. 모더니즘 이후, 현대 건축의 표현기법 중에서 바로크 적인 특성이라고 볼 수 있는 사례들은 리처드 마이어뿐 만 아니라 많은 건축가들로 부터 다양하게 시도되었다. 하지만 그의 건축처럼 단일한 공간속에서 복합적으로 구 성된 것이 아니라 일부의 조형 요소로써 표현되고 적용 된 수준이었다. 따라서 본 논문은 그러한 개연성을 연구의 주제로 상정 하고 리처드 마이어 건축에서 나타나는 조형어휘와 바로 크 건축의 형태적 상관관계를 분석할 것이다. 이를 위하여 그의 건축프로젝트에 대한 이미지 자료들을 살펴보고 바 로크적인 어휘가 그의 건축 속에 어떠한 방법으로 구체화 되어 나타나는지를 확인해 봄으로써 조형적, 구조적 측면 에서 리처드 마이어 건축의 특징을 규명 할 것이다. 그리 고 이러한 특징들의 변화과정을 살피며, 이것이 실제 프 로젝트에서 어떻게 표현되는지를 알아 볼 것이다. 연구는 먼저 17세기 바로크시대의 사회적 철학적 배경 과, 인식론적 개념에 근거하여 당시대 건축에 반영된 조 형 어휘들을 분석할 것이다. 또한 리처드 마이어가 그의 건축에 적용하는 조형 요소들이 바로크 건축과 어떠한 상관관계를 가지는지를 고찰할 것이다. 그 대상은 그의 전 작품이 범위에 포함되나, 가능한 실현된 프로젝트위 주로 이루어진다. 2. 바로크와 바로크 건축 2.1. 르네상스와의 비교를 통한 공간 개념 알베르티(Leon Battista Alberti)는 본성 상 사물을 아 름답게 해 주는 특질이 무엇인가 라는 물음에 ‘수(數)의 Gurlitt), 바이스바흐(Werner Weisbach), 크로체(Benedetto Croce), 하우젠슈타인(Wilhelm Hausenstein), 포시용(Henri Focillon) 3) 김영방, 바로크, 한길아트, 서울, 2011, p.22 유형화’라고 답하였다. 그는 수야 말로 형태의 마무리와 배열이라고 주장하며, 그것은 다른 부분들의 접속과 결 합에서 생겨나서 전체에 미와 우아함을 부여하고 조화시 킨다 하였다. 우아하고 멋진 모든 것들의 원형이 수라는 무형의 질서에서 비롯된다는 의미다. 이른바 조화의 본 성자체가 서로 다른 구성원들을, 하나의 아름다운 전체 로 형성하는데 힘을 모을 수 있는 정신의 시각화라는 개 념으로 풀이 될 수 있다. 아울러 뒤러(Albrecht Dürer)도 수학적 법칙이 자신의 회화에서 재현의 정확성과 시각적 질서나 조화 간의 화해를 목표로 한다고 말하며, 미가 양극단 사이의 중용에 위치한다고 하였다. 그래서 유용 성은 궁극적으로 미의 일부이며, 조화를 통해서 아름다 워지고, 조화가 결여되면 아름답지 않다고 하였다.4) 진정 한 조화는 서로 다른 사물들을 결합시킨다는 알베르티의 주장과 일치하는 대목이다. 또한 슐츠(N. Schultz)가 언급했던 ‘르네상스의 우주적 질서의 가시화와 그것들의 종합적 포괄이 바로크이다‘5) 라는 논리에 주목해보면 르네상스인은 질서화한 우주와 자연 속에서 신성한 완전의 존재를 확고하게 믿었고, 신 학적 사유 안에서 이루어지던 우주와 자연의 질서가 관 찰과 실험을 통하여 탐구됨으로서 형이상학적인 관념의 허울이 벗겨지고 자연을 있는 그대로 인식하게 되었다는 것이다. 그래서 그들의 이러한 자연에 대한 인식과 해석 은 논리적인 수학에 의한 기하학적 질서의 이론으로 체 계화됨과 동시에 건축에 있어서는 형태의 완성이 기능적 의미를 대체하는 결과로 이어진다. 요컨대, 모든 미학의 기본이 되는 통일성의 원리, 통일 적 공간감정, 비례의 통일적 기준, 하나의 모티브에 집중 된 묘사의 제한, 한눈으로 파악할 수 있는 구조의 통일 적 종합을 합리주의라는 방향으로 이끌어 낸 것이다.6) 반면, 바로크 건축은 르네상스에 비하여 공간의 구축 요소와 방법이 포괄적으로 나타난다. 이는 르네상스의 우주적 질서로서의 기하개념과 매너리즘의 역동적 변형 의 동적인 조형원리가 체계적으로 결합되는 양태로 이해 될 수 있는데7) 르네상스와 매너리스트의 건축적 경험과 기하개념이 어느 것도 제외되지 않고 복합적으로 표현되 는 방식이다. 즉 바로크 건축은 두 가지의 궁극적인 힘 에 의하여 구성되고, 이는 바로크 공간의 전체를 지배하 는 중앙의 개념과 무한한 연속적 리듬으로 공간의 경계 를 지워서 과장된 형식의 효과를 가져 온다. 표현의 극 대화를 위한 조형적 요소로써 르네상스적인 개념이 전자 4) http://blog.naver.com 5) C. N. Schultz, Baroque Architecture, Harry N. Abrams, New York, 1971. p.287 6) 아르놀트 하우저, 문학과 예술의 사회사2, 백낙청 역, 문학과 지성 사, 서울, p.27 7) C. N. Schultz, op. cit., pp.315-316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제22권 3호 통권98호 _ 2013.06 129 <그림 1> Basilica di San Lorenzo plan, 1460 <그림 2> Dome of the Wieskirche, Dominikus Zimmermann, 1740 의 중앙이라면 리듬감과 연장, 그리고 조형적요소가 후 자의 변형이 되는 것이다. 이렇듯 바로크의 공간원리는 역동성과 상호관입으로 설명될 수 있다. 하지만 여기에서 논의되는 바로크 공간 의 역동성은 고딕건축과는 다른 방식의 개념으로 설명될 수 있다. 고딕건축에서는 건물구조의 표면상에 있는 선 들의 작용에 의해 확립된 투시도의 암시들이 2차원적으 로 사용되지만, 바로크 건축에서는 전체적인 벽이 파상 을 이루며 굽어져 흐르고 마침내 그것이 시각적으로 움 직이며 역동적인 형태로 나타난다. 그리고 이러한 역동 성은 공간의 시각적인 연속성으로 이어진다. 완성이 아 니라 완성되어가는 진행형의 상태, 즉 전체 속에서 공간 들끼리의 상호 명확한 분할과 단절을 피하며 상호 유기 적 개념의 관계를 이루어 나가는 역동성이다. 그래서 바로크 건축의 공간은 형성되고 있는 그 무엇, 생성과정에 포착된 것 내지는 일종의 기능으로 파악된 다. 예컨대 회화를 보면, 공간의 깊이를 강화시키기 위하 여 전경을 과도하게 크게 그리고 전경의 인물들을 보는 사람의 바로 눈앞에 돌출하도록 하며 배경의 사물은 원 근법적으로 급격하게 축소시키는데 이것은 공간을 그 자 체가 움직이고 있는 것이라는 인상을 들게 하며, 보는 사람은 화면에 극히 가까운 시점이 주어짐으로써 공간이 자기 자신에게 종속되어 있고 자신에게 의존하고 있으 며, 자신에 의하여 만들어진 존재라는 느낌을 갖게 한다. 하지만 절대적 전형성을 상대적으로, 또한 엄격한 것을 자유스러운 것으로 대체하려는 바로크의 경향을 가장 뚜 렷하게 나타내는 것은 비 건축적 형식의 개방성이다. 르 네상스적인 구도에서는 공간에 표현된 것은 이미 그 자체 로서 한계 지어진 현상이요 이를 구성하는 모든 요소는 서로 의존하고 있거나 관련되어 있지만, 바로크는 불완전 하고 분열적이며, 어디서나 다시 시작될 것만 같고 자신 을 초월하여 무엇인가를 지향하고 있다는 인상을 준다. 이에 대하여 뵐플린은 궁극적으로 바로크가 지향하는 공 간은 그 자체로서 독립적으로 구축하게 하는 것이 아니 라, 우연히 스쳐지나가는, 그러나 관람객이 한순간이나마 머물렀다는 영광을 느끼게 하는 것이라고 피력하였다.8) 2.2. 바로크 건축의 조형성 앞에서 살펴본 바, 르네상스적인 기하개념과 매너리즘 의 역동성이 결합되는 양태로써, 르네상스와 매너리스트 의 건축적 경험과 기하개념이 합일되는 힘으로써, 바로 크 공간의 중앙 개념과 공간의 경계를 지우는 탈 영역적 효과를 짐작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장에서는 이러한 무한성의 의지가 건축공간 8) 하인리히 뵐플린, 미술사의 기초개념, 박지형 역, 시공사, 서울, 1994, pp.136-142 에서는 평면성의 극복으로 이어진다고 상정하고 사례들 을 분석, 그 유형들을 정리해 볼 것이다. (1) 병치(倂置) 바로크 건축에서 가장 뚜렷하게 나타나는 구조적 특징 중 하나는 구조체들과 세부적 형태요소들의 지속적인 중 첩에 있다. 즉 벽 앞에 벽, 형태 앞에 또 형태, 겹쳐진 것 앞에 지속적인 겹침으로서 공간의 깊이감이 가중된 다. 그리고 이것은 특정 시점에서 고정되어 나타나는 것 이 아니라, 진입공간부터 출발하여 과정적 공간을 거쳐 목적 공간으로 이어지도록 유도된다. 예를 들어 구아리니가 설계한 산로렌조(Basilica di San Lorenzo) 성당의 평면을 보면 조직적으로 짜여 진 네트워크와 같 은 기하학적 체계들이 공간의 내부 와 외부를 연결하고 있다. 그리고 그것이 박동하듯 병치되고 물결 같 은 곡선의 벽을 따라 흐르다가, 어 느 순간. 교묘하게 우리의 시각적 인 관심이 사라지는 내벽 뒤쪽으로 숨겨지기도 한다. 무엇보다 이러한 효과는 돔에서 들어오는 빛을 통하 여 더욱더 감지하기 어려운 상태가 되어, 공간의 깊이감을 가중시킨다. 이처럼 기하학적인 원의 중심을 통하여 시작되는 도형 들의 반복, 그리고 타원이나 기타 도형을 탄생시키기 위 한 기하학적 작도행위는 무수한 원들을 생성시키고, 이 들의 중첩을 통하여 생겨진 교차점들은 평면상에서 공간 들의 네트워크를 형성하는 기준으로 작용한다. 구조들의 중첩과 건축 요소들의 체계적인 상호작용과 공간에서의 구조적 연계성을 서로에게 부여함으로써 르네 상스적인 타원과 원들을 적극적으로 서로 맞물리게 하고, 상호 관입되도록 하여 바로크의 병치구조로 형성된다. (2) 탈 경계 눈으로 감지되는 사물의 형태는 일반적으로 외곽의 모 양이나 입체적인 윤곽을 통하여 이루어지는데, 전자는 테두리의 경계로써 사물 형태를 파악하는 소묘적 방법이 다. 르네상스의 그림과 건축에서처럼 관찰자의 시선이 형상의 외곽선을 중심으로 파악되 는 개념이다. 그래서 형상자체가 전반적으로 평면적이며 볼륨이 안 정되어 보이며, 건물은 그 윤곽의 양감이 외부 지향적인 특성을 가 진다. 하지만 바로크는 형태의 윤 곽보다는 전체적인 덩어리의 체계 를 인식하게 하여 윤곽선에 대한 주목을 약화 시킨다. <그림 2>을 보더라도 천장과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제22권 3호 통권98호 _ 2013.06130 <그림 3> Church of St John of Nepomuk, 1720 <그림 4> Cathedral St. Carlos, Francesco Borromini, 1646 산 로렌쪼 산타 신도네 앵발리드 성 네포묵 하부의 입체적인 곡선구조가 상부 돔에서 유입되는 빛으로 인하여 극 명한 조형요소로 부각됨 중간층 돔의 측면 에서 유입되는 빛 으로 깊이감이 고 조되어 보이며, 최 상층부의 부유가 돋보임 내부에 비해 외부 에서 보이는 돔의 높이가 과장되어 보이며 최상부에 숨겨진 통로를 통 해 빛이 유입됨 돔 표면의 완만한 곡선과 볼륨 패턴 으로 인하여 상부 돔에 유입된 빛 내,외부 돔의 대비 감이 강조됨 <표 1> 돔의 2중표피 구조단면 사례 벽면이 만나는 지점에 대한 경계의 윤곽선의 파악이 어 렵게 표현되어있고, 기둥을 통하여 인지될 수 있는 천장 과 벽의 경계점의 엔터블러처(Entablature) 부분도 일차 적으로는 끝부분처럼 보이지만, 실상은 또 다른 수직면 의 시작이다. 천장과의 명확한 경계를 설정해 주지 못하 는 상태로 표류하다가 애매하게 종결되는 것이다. 그것 은 구조체간의 경계나 형상을 파악할 수 있는 경계점이 전체적으로 애매한 볼륨으로 이루어져있기 때문이다. 또한 <그림 3>의 돔은 전체적 으로 별 모양의 오각형 큐폴라가 비교적 단순한 볼륨으로 돔을 형 성하고 그 위로 또 다른 오각형 형태의 돔이 있는데, 돔의 모서리 부분에는 외부의 빛을 유입시키는 개구부가 있어서 아래의 돔과 위의 돔이 강하게 대조된다. 여기에서 아래의 돔의 배경 면은 별 모양을 형성하는 모서리를 기점으로 각이진 볼록한 볼륨의 선이 방사형으로 밖으로 퍼져 나가지만, 내부의 돔은 안으로 모 이는 것 같은 모티브의 볼륨이 전체적으로는 하나의 하나 인 것처럼 보인다. 그래서 경계가 시각적인 것과 심리적인 것의 상충을 불러와서 관찰자의 지각을 교란시고 공간적으 로는 원근감까지도 잠재시키는 효과를 불러일으킨다. 특히 천장의 돔을 2중으로 구성한 후 외표피의 개방 상태와 내 표피의 개방상태 사이의 관계를 적절히 조작 하여 실내의 빛을 인위적으로 조작하는 2중 표피기법 은,9) 공간속에서 또 다른 천장이 부유하는 것처럼 보이 9) 임석재, 미니멀리즘과 상대주의 공간, 시공사, 서울, 1999, p.173 게 하여 마치 다른 세계가 존재하 는 것 같은 착각을 유도 한다. 공 간을 형성하는 구조적 요소들의 전형적이고 관념적 경계가 사라지 거나 형태적으로 교란되어 보이는 개념이다. 바로크 돔의 유형별 단 면구조를 <표 1>과 같이 정리하 였다. (3) 연속과 순간 건축에서의 연속성은 물결치듯 구부러져있거나 중첩, 반복을 통한 공간구성과 구조요소들이 그 자체로서 조형적인 운동성 을 가지는 특성을 말한다. 구조체가 일련의 완성체로서의 정지되는 것이 아니라, 완성해나가려는 진행형의 속성을 가지는 것이다. 르네상스의 고전성이 현재 상태에서 변화 되지 않아야 하는 필연적 속성이라면 바로크 공간은 이와 는 구별되는 비구축적 의지이다. 의미의 여운을 남기고 미적인 묘연함을 대상 속에 포 함시킴으로서 완성과 종결로써 중단되지 않고 스스로 내 적인 충동을 유발하고 그것을 항구적으로 지속시키도록 하는 것, 그래서 건축가는 공간을 그 자체로 존재하는 독립적 세계가 아니라 그저 스쳐 지나가는 순간성을 통 해, 관찰자가 우연히 그 순간을 목격하고 있다는 느낌이 들도록 유도하였다. 즉 공간의 융합이나 서로간의 관입, 측방향을 확장하여 경계의 윤곽을 지우고 점증되는 반복 과 공간들 사이의 모순된 구조와 변형으로서 감성이 즉 각적으로 결론내릴 수 없는 모호함을 이끌어 내었다. 그리고 기능과 프로그램을 연결하는 동선으로서의 공 간체계보다는 각 공간의 구성적 특징을 반영하는 운동감 과 이로 인한 세부공간과 전체공간을 형성시키며 공간의 연속성이 일정의 논리를 가지고 전개되는 것처럼 유도하 였다. 이것은 합리적인 순환개념으로써의 운동성이 공간 의 심연성에 작용하는 측면이지만 회화에서와 같이 형태 적 운동성이 시간적 연속성으로 대체되는 개념과는 다른 차원, 즉 미술에서는 그 시간적 연속성이 직선적이라면 건축에서는 그것이 순환적 개념으로 표현되었다. 3. 리처드 마이어와 바로크 건축 3.1. 리처드 마이어 건축의 배경 코넬 대학(Cornell University)에서 건축교육을 받은 리처드 마이어는 6개월간의 유럽여행을 통해 건축의 미 학적 개념을 싹틔우고, 그때 르 꼬르뷔지에10)를 직접 만 나는 기회를 가진다. 여기에 대해 그는 르 꼬르뷔지에가 10) 질 들뢰즈는 그의 저서<주름, p.55>에서 르 꼬르뷔지에의 건축적 영감의 원재료를 바로크의 정신으로 상정하기도 하였다.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제22권 3호 통권98호 _ 2013.06 131 <그림 5> The Atheneum, 1979 없었다면 자신의 건축물은 없었을 것이라고 스스로 말하 며 공간을 창조하는 방식에서 많은 영향을 받았음을 고 백한다.11) 1963년 뉴욕의 근대미술관(Museum of Modern Art)에서 열린 르 꼬르뷔제 작품 전시회는 리처드 마이 어뿐만 아니라 그의 건축적 구심점이었던 뉴욕 파이브건 축12) 멤버 전체에게 많은 영향을 주었으며, 자신의 건축 사무소를 개설하는 계기가 된다. 그래서 그의 작품에는 르 꼬르뷔지에(Le Corbusier)나 프랭크 로이드 라이트(Frank Lloyd Wright), 미스 반 데 로에(Mies van der Rohe)의 개념과, 루이스 칸(Louis Kahn), 알바 알토(Hugo Alvar Henrik Aalto), 에로 사리 넨(Eero Saarinen) 등 2세대 건축가들로부터 받은 형태 와 빛에 대한 영향이 축적되어 있으며, 이를 배경으로 큐비즘(Cubism), 데스틸(De Still) 같은 형식적인 모티브 가 공간에 적용되기에 이른다.13) 3.2. 건축언어와 바로크의 재해석 본 연구의 주제인 바로크적 공간개념이 리처드 마이어 작품 전반에 재해석되어 있음을 상정하고, 그의 건축 전 체를 거시적 관점으로 고찰해 보면 궁극적으로 공간을 형성시키는 중요한 맥락이 유추된다. 그것은 단일한 공 간속에서 복합적으로 가해지는 다양한 바로크적 조형기 법, 즉 공간의 병치수법, 탈 경계, 조형요소의 순간성 등 으로써 공간의 구조요소들이 기하학적으로 서로 반복되 거나 대립, 또는 충돌하는 개념인데, 공간은 전형적인 구 조체계에서 벗어나 자유롭고 유동적인 체계가 된다. 즉 앞에서 살펴본 바로크의 시각적 공간과 심리적 공간이 조형적으로 상충되는 개념이다. 일반적으로 건축공간의 천장은 벽에 의하여 물리적으 로 지지되며, 각각의 구조부재들은 서로간의 작용으로 이루어지는데 반하여, 마이어 건축에서는 기둥 열과 그 사이의 비내력 벽들이 마치 도미노처럼14) 자유롭게 겹쳐 지거나 개방된 구성으로서 이루어진다. 따라서 관람자가 건축공간속에서 기대할 수 있는 육면체의 기본적 구조 11) 사상적인 혹은 관념적인 면에서 르 꼬르뷔지에를 따랐다기보다는 형태와 공간 구성에 있어서 그가 제시했던 대안들을 더욱 조형적 으로 더욱더 공고히 하고, 당시의 상황과 다양한 요구, 개인적인 건축논리에 따라 재구성하였다. 이는 단순한 모방과 계승이 아닌 재해석의 차원에서 마이어를 비롯한 후대건축가들의 건축적 구심 점으로 인식된다. 12) 리처드 마이어를 비롯한 그레이브스(M. Graves) 아이젠만(P. Eisenman) 이 주 멤버가 되어, team10이나 C.I.A.M과 같은 토론을 통한 그룹 인 CASE(conference of Architects for the Study of the Environment)의 전시회를 가졌는데, 이때 과스메이(Gwathmey)와 헤이덕(Hejduk)이 초대되어 5인 건축가로 그들을 뉴욕5(New York Five)라고 명명된다. 초기 작품들에서 보여지는 백색의 입방체가 르 꼬르뷔지에의 그것을 연상시킨다하여 Neo Corbusian 혹은 white파 New York Five라고 하는 그룹차원으로 불려졌다. 13) 김태윤, 리처드 마이어 건축의 다양성에 관한 연구, 경북대 석론, 2006, p.4 14) 임석재, 신추상과 코르뷔지안 건축, 북하우스, 서울, 2001, pp.220-223 관념, 즉 모서리가 직각으로 닫혀있는 폐쇄성을 와해시 키는 특성으로 이어지고 이것은 공간에서의 조형적 갈등 을 생성시키는 원인이 된다. 이와 같은 공간의 갈등구조는 르 꼬르뷔지에가 제시한 최적 해법이라는 기계미학적 강령에서, 독자적인 건축관 으로 변화하는 리처드 마이어 건축의 구축점이라 할 수 있다. 요컨대, 최적해법의 기본인 조화로운 총합을 조형 적으로 그 가능성을 제한하는 장애요소로 받아들이고 이 를 타파하려는 건축적 의지로 발동되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복합공간의 형성은 건축의 구조체들과 세부형태요소들의 지속적인 중첩, 겹침으로 인하여 공간 의 깊이감이 더해지는 바로크 건축의 병치기법과 조형적 인 상관관계를 가진다. 특정 시점에서 고정되지 않고, 진 입 공간, 과정적 공간, 목적 공간으로 이어지는 순환적 프로그램을 통하여 바로크 공간의 운동성과 이로 인한 시각적인 연속성, 심연성의 측면을 엿볼 수 있는 것이다. 3.3. 복합공간의 유형 앞에서 살펴보았듯이 리처드 마이어 건축은 기본적으 로 여러 겹으로 형성되는 공간구조 속에서 다양한 기학조 작을 이용하여 자유형태의 기본공간을 비정형적으로 구성 하는 개념이다. 이는 복합적 조형개념이라는 동의적 기법 을 구현하기 위한 그의 건축적 이념이기도 하다. 본 절에 서는 이러한 건축 어휘가 실제 작품에서 어떻게 표현되 고 나타나는지를 주요 사례들을 통하여 살펴 볼 것이다. (1) 아테네움(The Atheneum) 70년대 작품인 아테네움은 기둥열주에 의한 그리드로 형성되었다. 따라서 벽체가 비교적 자유롭게 구성된 형 식이지만, 그리드의 패턴을 상당부분 의식한 듯, 벽체의 분할이 기둥 배열의 종속에서 완전하게 벗어나지는 못하 고 있다. 하지만 본체에서 분절 된 구조요소들이 옥외의 영역으 로 확장되면서 실내영역과 실외 영역이 모호한 구조로서 기하학 적인 병치를 이룬다. 실내에서 분절된 구조요소가 외부에서 비 균질적으로 파열됨으로써 본체 영역의 경계가 측정될 수 없는 막연한 영역감을 형성시키고, 전 면 유리를 통해 투명하게 비치는 실내영역과 가벽 스크린에 의하여 형성되는 옥외영역이 불규칙적이지만 연속적으로 병치되면서 전체적으로는 겹 공간의 구조를 형성하는 것이다. 그래서 건물의 전체 형 태가 공간의 구조가 완성된 상태로 구체화되기 이전의 단계인 영역 암시의 개념으로 머물러있는 것처럼 보인 다. 바로크 건축에서 나타나는 연속성과 순간성의 개념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제22권 3호 통권98호 _ 2013.06132 <그림 8> Church of the Jubilee, 2000 <그림 6> Exhibition and Assembly Building at Ulm, 1993 <그림 7> Museum of Barcelona, 1995 이 현대적 조형기법으로 재해석된 사례라 할 수 있다. (2) 울름전시관(Exhibition and Assembly Building at Ulm) 1993년에 완공된 이 작품은 르 꼬르뷔지에의 도미노 모델을 기본 조형 원리로 하여 겹구조에 의한 복합 공간 의 원리가 잘 나타나 있다. 그는 여기에서 공간이 가진 최대한의 가능성을 극대화하기 위하여 기둥과 벽, 사적 영역과 공적영역, 빈 공간 부분과 그 내부를 가로 지르 는 계단, 경사로, 복도, 발코니, 또는 건물본체와 이것을 감싸는 가벽, 투명체와 불투명체, 직선과 곡선 등과 같은 여러 가지의 쌍 개념들로써 겹공간을 구성하였다. 그리 고 이 과정에서 전체 공간을 구성하는 점, 선, 면, 입체 의 기하요소를 분리, 분해, 삽입, 격자와 같은 조형적 조 작을 하였고, 건물공간의 복합성이 형성되도록 하면서 이 영역들 사이에 중첩이나 상호관입, 충돌 같은 혼성적 인 결과를 이끌어 내었다.15) 또한 백색의 채색과 함께, 계산된 빛의 유입으로 공간을 묘 연함과 함께 그 영역적인 한계가 초월되는, 느낌을 한층 강화시켜 주었다. 이는 바로크 건축의 지 속적인 구조체의 중첩에 의한 연 속성과 일시성, 그리고 돔의 2중 표피기법으로 인한 수직적 깊이 감이 수평적 개념의 조형조작으 로 응용, 표현되어 나타난 결과 라 할 수 있다. (3) 바르셀로나 미술관(Museum of Barcelona) 바르셀로나 미술관은 그의 건축들 중에서도 바로크 건 축에서 나타나는 탈 경계와 이중표피 개념과의 구조적인 유사점이 많은 사례로 분석된다. 우선 건물의 외관을 살 펴보면 본체에 붙어있는 것처럼 보이는 다양한 크기의 직사각형 요소들이 그리드 패턴과 창호 틀에서 구속되지 않은 상태로 자유롭게 구성되어 있다. 건축의 외형을 이 루는 표피자체가 조형적으로 부유한 것처럼 인식되어서 형태의 필수요소인 체적감이 과장되거나 또는 와해된 상 태로 보여 지는 것이다. 본체와 가벽과의 구조적인 관계, 그리고 본체 자체의 또 다른 가벽화, 이런 상충된 모순 들이 시각적으로 명확하게 판단 될 수 없는 바로크적 심 연성을 불러온다. 이 효과는 미술 관 내부에서도 이어 진다. 순백색의 웨 이브 벽체는 기하학 적으로도 구심점이 없고 모서리가 없는 상태로 물결치듯 굴 15) 임석재, op. cit., pp.136-140 곡 되어 나타난다. 그리고 천장과의 이격과 그 틈으로부 터 유입되는 간접 빛과 백색의 반사 때문에 시각적인 모 호함을 가중시켜 공간의 환각적인 효과를 가중시킨다. (4) 쥬빌리 교회(Church of the Jubilee) 비교적 최근 작품에 속하는 이 건물은 같은 반경의 곡 선 쉘 세 개가 서로 다른 높이로 나란히 서있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이는 상징적으로는 성삼위일체를 표현하 고, 기능적으로는 내부 공간을 나누는 기능을 한다. 공간 은 전체적으로 세계의 쉘 중 중 바깥쪽의 두 구조물은 사이드 채플과 세례당을 감싸며 안쪽의 가장 큰 구조물 은 주예배당을 감싸는 형식이다. 그리고 각각의 구조물 사이에는 슬릿창이 있어서 풍부한 자연광이 내부로 유입 된다. 하지만 여기에서는 가로와 세로의 구조체가 충돌하거나, 쌍 개념의 구조적 특징은 없고, 대신 수평적 구조의 겹공간이 연속적 으로 나타나는 형식이다. 바로크 건축에서 나타나는 2중 표피에 의한 구조적 이격과 이로 인한 자연광의 유입으로 그 특성이 강 조되어 나타나는 조형 원리와 부 다. 합되는 개념이다. 무엇보다 그러한 요소들이 물속에 잠겨있는 상태에서 일부만 솟아올라있는 것처럼 인식되어 형태상의 경계가 지하의 영역까지 연장되어 있는 것만 같은 인상을 심어 준다. 바로크건축의 총체적인 특성인 연속성과 순간성이 추상적, 현대적으로 재해석된 개념이다. 이상 분석한 바에 의하면, 리처드 마이어 건축은 전체 적으로 겹구조에 의한 복합공간이라는 조형관을 추구하 기 위하여, 원, 직선, 정사각형, 직사각형, 자유곡선과 같은 기하요소를 조형적으로 조작하는 것을 기본으로 하였다. 그리고 이것을 중첩, 상호관입, 충돌시키는 동시에 콜라주 적 혼성을 가미하였다. 이는 앞에서도 살펴보았듯이 르 꼬르뷔지에의 도미노 이론에 입각한 건물외피를 구조로부 터 분리시키는 개념을 배경으로 하는 것이었다. 하지만, 점차적으로 규칙적인 모듈체계에서 자유로운 형식으로 변 화하고 조형조작의 독자성도 높아져서 활동기의 중반에 이르러서는 자신만의 고유한 건축모델로 정착하였다. 따라서 초창기 르 꼬르뷔지에의 원리를 차용하는 단계 와 이것에 대한 조형 조작과 응용을 통하여 자신만의 고 유한 건축 모델로 형성되어 나가는 일련의 과정을 <표 2>와 같이 정리하여 건축 속에 적용된 표현요소들의 경 향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표 3>은 리처드 마이어 건축과 바로크 건축 의 특징을, 형태적으로 유사한 조형어휘로 분류, 비교한 것이다. 이때 리처드 마이어의 ‘관입, 충돌’, 그리고 바로 크의 ‘연속, 순간’은 형태적으로 동일한 특징의 조형어휘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제22권 3호 통권98호 _ 2013.06 133 구분 사례 완공 시점 조형요소 중 첩 관 입 충 돌 꼴라주 주택 Smith House 1967 ○ ○ ○ ◐ 주택 Saltzman House 1969 ○ ◐ ○ ◐ 주택 Old Westbury 1971 ○ ○ ○ ○ 주택 Douglas House 1973 ◐ ○ ◐ ◐ 주택 Shamberg House 1974 ◐ ○ ○ ◐ 공공건물 Bronz Developmental Center 1977 ◐ ○ ◐ ○ 공공건물 The Atheneum 1979 ◐ ● ● ● 공공건물 Hartford Seminary 1981 ◐ ● ● ◐ 공공건물 Clifty Creek Elementary 1982 ◐ ● ● ◐ 주택 Giovannitti House 1983 ● ◐ ● ◐ 박물관 High Museum of Art 1983 ● ● ● ◐ 박물관 Museum for Applied Arts 1984 ● ◐ ◐ ◐ 공공건물 Bridgeport Center 1989 ◐ ◐ ◐ ○ 공공건물 The Weishaupt Forum 1992 ● ● ● ● 공공건물 Canal+ Headquarters 1992 ◐ ◐ ◐ ◐ 공공건물 Exhibition & Assembly 1993 ● ◐ ◐ ◐ 공공건물 The Hague City Hall 1995 ◐ ◐ ◐ ○ 공공건물 Museum of Barcelona 1995 ● ◐ ◐ ● 박물관 Museum of TV & Radio 1996 ● ● ● ● 공공건물 Jubilee Church 2000 ● ◐ ◐ ● ∙ 적용정도: ○낮음 ◐중간 ●높음 <표 2> 조형요소의 표현 경향 리차드 마이어 건축 바로크 건축 중첩 병치 Museum of Barcelona Museum of TV & Radio Jubilee Church St. Giovanni Scala Reggia, Vaticano St. Peters Square 건물의 외피와 내피의 가벽을 구조로부터 분리시킴으로서 전체적으 로 자유롭고 인지도가 높은 공간 구성 체계를 보이고 있음 기하도형의 작도에 의한 도형들의 반복을 통하여 건축 요소들의 체계 적인 상호작용과 공간의 구조적인 연계성을 서로에게 부여함 관입 충돌 탈경계 beach house High Museum of Art The Weishaupt Forum Luca e Martina, Pietro da Cortona Most Sublime Church in Rome Stupinigi hunting lodge 구조부재에서 분리된 외피와 내피가 영역적인 한계를 넘나들며 관입 되고 충돌하며 공간의 유동성을 극대화하고 있음 주로 벽과 천방부의 모호한 경계설정으로 인하여 공간의 윤곽을 소멸 시켜 전체적인 양감을 높임으로서 시각적인 깊이감을 확대함 꼴라쥬 연속 순간Giovannitti House Museum for Applied Arts The Atheneum Hamburg's St. Michael's Church St. Andrea al Quirinale Versailles palace chapel 주로 자유곡선 벽면을 이용한 가벽이 건물의 직선적 패턴과 상충적 인 관계로 구성되어 관찰자의 유동적인 시선을 유도함 곡면의 부재가 중첩, 반복되면서 공간자체와 요소들이 그 자체로서 조형적인 운동성을 가지게 하여 시각적인 여운을 남기게 됨 <표 3> 리차드 마이어와 바로크의 조형 구조 특성 비교 인바 하나의 항목으로 묶었으며, 조형요소의 표현경향이 많은 작품을 대상으로 하였다. 4. 결론 바로크 건축은 궁극적으로 플라톤식의 조화체계에서 벗어나 라이프니츠의 생성철학에 그 바탕을 두고 있으 며, 이는 공간의 구조미학 자체가 전체의 형태본성을 강 조하고 포괄적인 조형원리로 구축되는 데에 중요한 배경 이 되어 주었다. 따라서 바로크 건축가들은 전체 속에서 형태의 질서와 일관성을 이끌어낼 수 있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비선 형적이고 비물리적인 조형체계를 공간 구축의 원리로 이 용하였고, 르네상스의 자연적 질서체계를 기하학적으로 형태화한 조형원리와 매너리즘적 역동성을 결합시켜, 르 네상스와 매너리즘이라는 두 힘으로부터 표출된 무한함 과 과장됨의 결과를 건축의 형태로 이끌어내었다. 그리 고 이것은 공간의 구성요소인 구조체들의 병치, 탈 경계, 연속과 순간성이라는 조형개념을 통하여 공간의 평면성 을 극복시켜 지속적인 운동성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도미노이론에 근거한 그의 건축적 흐름이 자신 만의 건축적 고유성으로 정착되게 된 배경에 이러한 바 로크적 형태원리가 재해석되어 있음은, 비정형적 형태윤 곽으로 건축공간을 절대화하려는 모더니즘 건축을 다시 금 모색하는 하나의 큰 흐름으로서 제시될 수 있다고 사 료된다. 이에 대하여 본 연구는 그의 건축 속에 표현된 바로크적 표현과 이것의 특징을 도출하며 다음과 같은 결과에 이른다. 첫째, 바로크 공간을 형성하는 조형적 원리는 데카르 트의 기계론적 세계관이 라이프니츠를 통한 생성 철학으 로 선회함으로서 존재의 개념이 유연해짐과 동시에 상호 작용을 통한 항구적인 연속성과 그의 구조적 알레고리에 근거 한다. 따라서 실제 건축에서는 단순한 물리적 범위 를 넘어서 관찰자의 개별적인 조건에 따라서 다르게 형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제22권 3호 통권98호 _ 2013.06134 성되는 유동성의 개념으로 가시화 된다. 그리고 바로크 공간에서 나타나는 유동성의 구체적인 조형요소는 구조 체들의 기하학적 패턴체계에 의한 병치, 반복과 이로 인 한 공간 경계의 와해, 연속성과 순간성에서 비롯된다. 둘째, 리처드 마이어 건축의 조형성은 바로크 건축의 선례와 비교될 수 있는 바, 그의 건축에서 나타나는 복 합적인 조형요소, 즉 중첩은 바로크의 병치로부터, 관입 과 충돌은 탈경계, 그리고 꼴라주의 비선형적 혼용은 연 속과 순간의 개념에서 그 조형적인 맥락을 같이한다. 하 지만 이러한 요소가 직접적으로 상호 비교 될 수는 없으 며, 궁극적으로는 건축 공간의 유동성이라는 큰 주제를 뒤따르는 세부요소의 개념으로 이해 될 수 있다. 또한 바로크의 조형은 비교적 대칭적이며 균질적 성격 의 기하조작방법인데 반하여 리처드 마이어 건축에서 나 타나는 공간 구성방법은 비대칭적 자유구조의 성격을 나 타낸다. 셋째, 바로크 건축의 구조체에서 나타나는 비선형적 개념은 3차원적인 가소성의 입체조형으로 표현되지만, 그의 건축에서는 기본적으로 2차원적인 평면에 의한 단 순 곡면의 특징으로 나타난다. 즉 순백색의 웨이브 벽체 는 기하학적으로 구심점이 없으며, 모서리가 없는 상태 로 물결치듯 굴절되어 나타난다. 넷째, 바로크공간은 기본적으로 기하학적 체계를 통하 여 천문학적 순환계도의 질서를 표현하였다면 리처드 마 이어는 물리적이고 효율적인 공간 네트워크를 설정하기 위하여 기하학적 작도행위를 통한 관입과 충돌을 활용하 였다. 그리고 기하학의 표현에 있어서도 바로크는 순수 기하 도형을 1차적으로 활용하였지만 그는 2차적 변형을 통하여 기하도형을 추상화시키는 방법을 채택하였다. 다섯째, 빛의 활용에 의한 공간 효과의 증폭에 있어서 도 바로크 건축은 본체 위에 형성된 2중 표피 돔의 측면 부분에서 유입됨으로서 공간의 상, 하부의 물리적 공간 체계가 모호한 조형성을 가지는데 반하여, 리처드 마이 어 건축에서는 구조체의 접합점인 슬릿창을 통하여 유입 된 빛이 백색의 벽면을 따라 흘러내려, 시각적으로 육면 체 자체의 구조적인 묘연함을 가중시키는 개념으로 나타 난다. 이상 살펴 본 바와 같이, 리처드 마이어 건축에 나타 난 바로크적 공간 표현은 현대건축의 비정형과 최소 또 는 최대한계를 긍정적으로 제시함으로써 지나치게 무질 서하거나 절대적인 조형관에서 파생될 수 있는 관념적인 건축관에 대한 조율을 시도하였다고 볼 수 있다. 그리고 그것은 생산성과 조형성 사이의 균형에 대한 건축적 사 유를 일깨우는 방향성을 제시해준다. 참고문헌 1. 길성호, 현대건축 사고론, 시공사, 서울, 2001 2. 김영방, 바로크, 한길아트, 서울, 2011 3. 김용규 역, Charles Jencks, Late-Modern Architecture, 건우사, 서울, 1998 4. 윤재희, 건축의 공간과 형태, 세진사, 서울, 1995 5. 이정우, 접힘과 펼쳐짐, 거름, 서울, 2000 6. 이정우, 주름 갈래 울림, 출판사거름, 서울, 2001 7. 이찬웅 역, 질 들뢰즈, 주름 라이프니츠와 바로크, 문학과 지성 사, 서울, 2004 8. 임석재, 미니멀리즘과 상대주의 공간, 시공사, 서울, 1999 9. 임석재, 신추상과 코르뷔지안 건축, 북하우스, 서울, 2001 10. 최정은, 보이지 않는 것과 말할 수 없는 것, 한길아트, 2000 11. Bill Risebero, 서양건축이야기, 오덕성 역, 한길아트, 서울, 2000 12. Christian Norberg-Schulz, 건축의 의미와 장소성, 이정국 외 역, Spacetime, 서울, 2000 13. Ducasse Pierre. les grandes philosophies, PUF, Paris, 1967 14. Eugenio d'Ors, Le Baroque, Tecnoc, Barcelona, 1993 15. Gilles Deleuze, Plieugue, Paidos, Barcelona, 1989 16. Rolf Toman, Baroque, Konemann, 1998 17. 김태윤, 리처드 마이어 건축의 다양성에 관한 연구, 겅북대 석 사논문, 2006 18. 송주영, 바로크건축에 적용된 공간의 깊이감에 관한 연구, 건국 대 석사논문, 2009 19. 윤창의, 바로크 건축의 공간구성에 관한 연구, 서울대 석사논 문, 1982 20. 한명식, 뉴욕5건축과 바로크건축에 나타난 공간특성에 관한 연 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제14권 4호, 2005.4 21. http://blog.naver.com [논문접수 : 2013. 04. 30] [1차 심사 : 2013. 05. 16] [2차 심사 : 2013. 05. 28] [3차 심사 : 2013. 05. 29] [게재확정 : 2013. 06. 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