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terior Design http://dx.doi.org/10.14774/JKIID.2016.25.3.112 Vol.25 No.3 Serial No.116 _ 2016. 06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제25권 3호 통권116호 _ 2016.06112 러진테럽터스의 뉴 장르 공공미술에 나타난 환경색채 연구 * A Study on the Environmental Color of New Genre Public Art in Luzinterruptus’ Work Author 김선 Kim, Sun-Young / 정회원, 수원과학 학교 실내건축디자인학과 조교수, 건축학박사 Abstract The purpose of the thesis is to explore ways of improving the quality of urban life by analyzing the Luzinterruptus’s work looking for a new perspectiv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nvironmental color and society. The street artist Luzinterruptus was born in Spain, is a leader in the field of New Genre Public Art brush on a canvas of light in the night. They should seek the views of other common color system and color environments. The method of research is urban design, we consider the concept of the public good understanding, and New Genre Public Art. It also analyzes the environmental color of Luzinterruptus to take advantage of the phenomenology by David Katz color classification. The scope of the thesis is focused on the analysis of the works featured in their website and webzine. Then select a sculpture installation information is stated on the environmental color of their work. The role of environmental color in their work is not an aesthetic experience of harmonious urban landscape was seeking Public Art. The citizens of the area and the installation work themselves. Also it listed as demolition after the exhibition to realize the difference with other people and take advantage to environmental color. Therefore, they the contemporary agenda in many part of narrative takes in the garbage or disposables that you can easily look at our surroundings, In addition, citizens are directly experiencing the fantastic custom-made lights and colors and objects of the oversize as a potential recalls memories. Thus, the use of environmental color comfortable life there is horizontal participation and communication of the ‘citizens’ critical perspective of the 21st century cumulative cities. Keywords 러진테럽터스, 뉴 장르 공공미술, 환경색채 Luzinterruptus, New Genre Public Art, Environmental Color 1. 서론 1.1. 연구의 배경과 목 산업 명 이후 본격 으로 개된 도시는 사회 경제구 조와 함께 자유주의를 실 하 다. 장 자크 루소에 따르 면 이처럼 지나치게 도시가 비 해지면서 인간의 삶은 도시 권력에 매몰되어 마치 인류가 뱉어 낸 가래침처럼 변했다고 한다. 이러한 문제를 르겐 하버마스는 「의사소통 행 이 론」에서 ‘공공 역(public sphere)’으로 해답을 찾는다. 이 공공 역은 사 역의 응물이 아니라 사 역의 한 부분으로 이해해야 한다. 1) 즉 재의 도시 모습과는 다른, 인류의 시작과 함께 사회·문화의 장으로서 삶을 �������������������������������������������������������������� * 이 논문은 2014년도 정부(교육부)의 재원으로 한국연구재단의 지원 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 (NRF-2014S1A5A8013732) 하는 도시 안의 ‘도시민’을 염두에 두어야 한다.1) 20세기 이후 도시는 특수성과 지역성에 몰두하 다. 그러나 이제 무분별한 도시개발을 멈추고 무형의 인 라 스트럭처의 도시재생(urban regeneration)을 지향하고 있 다. 이 시민과의 상호소통을 요하게 여겨 교량, 터 , 도로, 건축 등 문 이고 공학 기술이 요구되는 분야보다는 비 문 업이 비교 쉬운 공공미술 분야 에서 활발한 움직임을 보인다. 특히 뉴 장르 공공미술은 퍼포먼스, 이벤트, 해 닝, 설치, 비디오 등 뉴미디어 아 트의 화로 시간성(temporality)을 추구하고, 컴퓨터를 기반으로 인터랙티 아트의 시간완충장치(suspension of time)를 가능 하는 이 이 있다. 한 도시-장 기존속의 고 도 거 도시-에서 나와 타자의 차이를 깨 1) Jürgen Habermas, The Theory of Communicative Action, Volume 1: Reason and the Rationalization of Society, Beacon Press, 1985, p.17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제25권 3호 통권116호 _ 2016.06 113 닫고 서로 얽히어(intertwining) 사회 계가 층층이 쌓이면서 충돌하게 된다.2) 이러한 추세에 입각한 스페인 출신의 거리 술가들로 구성된 러진테럽터스는 보다 신 으로 도시의 문제에 근하여 도시민의 참여를 독려하고 있다. 특히 그들은 ‘밤이라는 캔버스에 빛이라는 붓’으로 뉴 장르 공공미술 을 피력한다. 그들은 표색계(color system)에서 출발하는 기존의 환경색채와는 분명히 다른 을 내포한다. 도시 거리의 막한 밤과 조되는 제작조명으로 이루 어진 그들의 작품을 분석한다. 이는 정량 근의 배색 과 조화, 정성 근의 색채형용사 뉘앙스 등 보편 색채 조사에서 탈피하여, 다른 이면해석에 이바지 하리라 믿는다. 특히 공공 역에서 이루어지는 시민들의 극 참여와 소통의 과정은 작가들의 기 아이디어와 의 간극에서 나와 타자의 차이를 깨닫는 계기가 된다. 이는 도시가 지향하는 쾌 한 삶의 질과 맞닿아 있 으리라 견하며, 뉴 장르 공공미술에서 차지하는 환경 색채의 상을 찾는데 도움이 되리라 믿는다. 본고는 색 채에서 다루지 않았던 뉴 장르 공공미술의 환경색채를 탐색하여, 시각 술의 본질인 이미지 표 에 따른 조형 성, 시 조류와 략의 내러티 를 형성하는 시간성, 다양한 분야와 업에 의한 콜라주 확장성 등 환경색 채 요소를 도출하여 도시의 환경색채에서 실제로 다루어 야 하는 가치를 재고하는데 목 이 있다. 1.2. 연구 방법 범 본고는 도시민의 삶의 질을 높이기 해 다양한 방법 을 모색하는 도시 략가들에게 뉴 장르 공공미술에서 환경색채 의의를 찾고, 몸의 충돌에서 비롯한 사회 계를 환경색채로 표 하는 러진테럽터스의 작품을 분석 한다. 연구 방법은 도시 디자인과 공공성의 이해로 뉴 장르 공공미술을 고찰한다. 색상·명도·채도 등 물리 구 분에서 색채지각 3요소의 개념을 환기시켜, 데이비드 카 츠의 색 분류를 토 로 그들이 지향하는 환경색채의 근 경로를 마련한다. 즉 표색계 조사나 뉘앙스에서 벗 어나 그들이 선호하는 공간색과 원색을 심으로 분석 하여 기존의 환경색채 분석과 차별시킨다. 연구 범 는 결과보다 과정을 시하는 그들의 뉴 장르 공공미술 가 운데 도시민과 업한 설치 조형물로 선정하되, 그들의 홈페이지와 Dezeen 웹진에 소개된 목록 에서 비교 환경색채와 연계가 뚜렷한 작품을 선정한다. 특히 기 단계부터 설치물의 색채 아이디어와 조명 선택 등이 컨 셉 스 치에서 설명된 작품을 우선한다. 2) Johann Heinrich Lambert, Neues Organon, University of Michigan Library, 1764, p.79 2. 도시와 환경색채 2.1. 도시 디자인과 공공성 도시 디자인은 인간 내면의 자아와 외부세계를 보다 폭넓게 만드는 실체 지역과 가치를 창출해야 한다. 거 주 생활 기반을 조율하는 기능과 더불어, 도시민 삶 의 질과 도시발 에 기여하는 총제 인 맥락이어야 한 다. 이 때 공공성은 사회·문화·정치·철학 안에서 인간의 활동 인 삶(vita activa)을 근본으로 타자와의 사이 (in-between)를 인정하는 요소이다. 공공성의 뜻은 무엇인가. 우선 인민(공공)에서 생된 라틴어 ‘푸블리쿠스 (pūblicus)’의 사 의미는 ‘국가의, 공식의’와 ‘공개의, 개방의’로 나뉜다. 한 공공은 정치지배체제를 한 공 공간에서 출발하 으며, 로마 공화국은 최 로 공공 역을 실화하 다.3) 17세기에 이르러 ‘공공복지(salus publica)’의 ‘공동의(gemein)’에서 ‘공정복리, 공 이익, 공 질서’를 포 한다. 기술문명의 발달로 18세기부터 정치 행 는 경제활동 아래로 도되어 국가와 시민을 상호 결합하는 간 역으로 정치·경제·사회문화를 수반한다. 이처럼 공공성은 시 의 헤게모니를 작동시켜 공 역 에서 사 권리를 지킨다. ‘공공(public)’이 ‘공개, 개방, ’을 의미하듯 도시 디자인의 공공성은 사회문화 권 력의 역학 계에서 벗어나야 한다. 공공을 다루는 도시 디자인이 공공공간, 공공시설물, 공공건축물, 공공시각매 체로 변되는 국내 실에서 공공을 실 하기 해 환 경을 장식, 리하는 료 행정에서 벗어나야 한다. 한 사 개인을 공 심으로 확 한 공개 소통이 발 생한다.4) 이는 ‘사이에 존재(inter-esse/self-interest)’로 공통 심사를 둘러싸고 이루어지므로, 공공 역은 경계 구분을 떠나 도시민을 한 무장소성(non-places)이어야 한다. 그러므로 무엇보다 공공 역에 사람들이 더 자주 오고 더 많은 활동으로 외부환경에 머무르는 시간이 길 어지도록 도시를 계획해야 한다. 2.2. 색과 색채 색의 연구 분야는 다양하지만 색은 빛을 발하는 원 (light source), 빛의 반사 상(object), 이 결과를 찰 하는 찰자(observer)의 ‘색채지각 3요소’에서 출발한다. 일반 으로 색지각 요소에 따라 햇빛, 조명, LED, 스크 린의 디스 이 등 발 체에서 빛을 직 보는 원색, 빛의 반사로 이루어진 물체의 색인 물체색(표면색), 색유 리나 셀로 지처럼 빛이 상을 통과하여 보여주는 투과 3) Hannah Arendt, The Human Condition. Chicago: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58, pp.58-60 4) 齋藤純一, 公共性の政治理論, ナカニシヤ出版, 2010, p.14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제25권 3호 통권116호 _ 2016.06114 <그림 1> 매스색채와 볼륨색채 <그림 2> Necker Cube 색으로 구분한다.5) 색은 가시 선의 명암과 분 조성에 따라 색각을 느끼는 빛의 주 수이며 스펙트럼의 조상 차다. 그러니까 엄 히 말하면, 색은 념이라 상을 만 날 때 실재하므로 색과 색채는 다르다. 『괴 겐(Göttingen)실험 상학 』인 에드문트 후설 (Edmund Husserl)에게 향을 받아 상학 으로 색을 구분한 데이비드 카츠(David Katz)는 순수한 색만 있고 음 은 없는 면색(film color), 물체 표면에서 빛의 작용 인 표면색(surface color), 특정한 장이 강한 반사로 지 각되는 속색(metal color), 색유리나 셀로 지처럼 빛 을 투과하는 투과색(transparent color), 거울에 비춰진 상인 경 색(mirrored color), 비눗방울처럼 외부에 간섭 으로 내부에 빛이 갇힌 간섭색(interference color), 물체 표면 뿐 아니라 투명한 용 안에서도 지각되는 공간색 (bulky color), 발 자체인 원색(illuminant color)으로 나 었다. 본고에서는 면색, 표면색, 속색, 경 색 등 텍스추어와 택의 표피색채(epidermic color), 투과색, 간섭색처럼 주변 환경에 향을 받는 여러 겹들의 표층 색채(layered color), 시-공간(time-space) 개념인 공간색, 원색은 인터랙션색채(interaction color)로 구분한다. 한 시-공간의 색채는 여러 시 으로 상을 표 하는 동 시성, 상호작용과 부유 입의 연속성, 속도와 움직임 의 과정성이 있는 색채 6)로 시간의 개념이 포함된 색채 로 이해한다. 구분 표피색채 (EC: epidermic color): 면색, 표면색, 속색, 경 색 표층색채 (LC: layered color): 투과색, 간섭색 인터랙션색채 (IC: interaction color): 공간색, 원색 <표 1> 색채유형 2.3. 도시의 환경색채 개념 환경색채는 인간-환경 계에서 인간 생존과 안 에 직결되고 미 가치를 지키는데 필요 요소로 사회·문화 차원에서 색채사용과 련한 환경문제이다. 특히 도시에 서 환경색채는 한 균형과 쾌 한 안정을 한 미 체험 뿐 아니라, 효과 인 정보 달로 인간 삶을 지원 하는 요 장치이다.7) 즉 환경색채는 각 지역의 정체성 수립과 진 개발에 시각 편안함과 심미 조화로 서, 도시경 친화에 목 이 있다. 그러므로 도시의 환경 5) 김선 , 빛 번짐을 용한 블러색채의 특성 연구, 한국색채학회논 문집 제28권 1호, 2014, p.6 6) 김선 , 건축의 시-공간 색채체계 연구1, 한국색채학회논문 집 제30권 1호, 2016, p.13 7) 김홍기, 환경색채계획론. 이화여자 학교 출 부, 2011, p.21 색채는 다양한 상호작용의 계이다. 컨 자연의 숲 속에 있는 붉은 건물은 상색채일 확률이 높은 반 면, 도시의 붉은 건물은 반드시 그 지 않다. 보행로 주변의 식재나 공공디자인, 혹은 인간행태가 상색채일 수 있다. 즉 시각디자인이나 산업디자인, 그리고 패션디 자인에서 색채는 매스(mass)이다. 즉 상색채만 존재한 다. 그러나 휴먼스 일보다 큰 도시의 환경색채는 매스 와 볼륨(volume)이다. 즉 상색채와 배경색채가 존재한 다. 바로 이러한 지 이 새롭게 환경색채를 논의해야 하 는 목이다. 의 좌측 그림은 시각디자인, 산업디자인, 패션디자인 의 매스색채를 표 한 것이고, 우측 그림은 도시디자인 의 볼륨색채를 표 한 것이다. 매스색채란 체 으로 인간의 치수보다 작거나 비슷하기 때문에 상색채만 존 재한다. 이때 매스색채가 표층색채(LC)일 경우에는 부분 으로 볼륨색채로 인식하기도 하지만 어반스 일(urban scale)아니므로, 엄 히 말하면 볼륨색채는 아니다. 볼륨 색채는 반드시 주변의 배경색채와 상색채가 계를 맺 어 환경색채의 톤과 질료의 재질감이 지속 으로 변화해 야하기 때문이다. <그림 2>를 몇 간 응시하면 처음에는 흰색의 사각 형이 돌출되어 보이다가 다시 회색이 튀어나와 보이고, 을 흐릿하게 하면 여러 겹의 사각형이 무작 로 보 인다. 이는 2차원 공간에서 3차원 공간 이상의 지각 습 이 용되기 때문이다. 즉 2차원 정보는 망막 에서 다양한 시각자극이 발생한다. 8) 이러한 원리로 상색채와 배경색채의 경계가 처음에 8) 김선 , 마크 로드코의 색면추상에 표 된 색의 확장성 연구, 한국 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제22권 1호, p.243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제25권 3호 통권116호 _ 2016.06 115 는 각각 구분되지만, 시간이 지나면 찰자가 선택하는 색채에만 집 한다. 한 일정 시간이 지나면 상색채 와 배경색채는 동시에 지각된다. 이 때 지각 거리의 깊 이에서 톤의 변화가 일어나고, 이동 속도의 간격에서 톤 의 재배치가 진행된다. 즉 도시의 환경색채는 표색계로 논하는 색채로만 이해할 수 없다. 3. 뉴 장르 공공미술과 환경색채 3.1. 뉴 장르 공공미술의 개 술은 공공의 기원과 유희를 담고 있으므로 인류의 삶과 동시에 시작했다. 물론 모더니즘 태동과 아방가르 드 정신에 입각한 순수미술의 추구는 조각, 회화, 건축의 업을 와해시키기도 했다. 그러나 재 공공미술은 사 회·문화 변화와 갤러리들의 노력으로 참여와 소통의 술로 발 하 다. 이 듯 공공미술은 시 의 흐름과 유 형에 따라 가변 으로 변화하고 있다. 공공미술이라는 용어는 리의 「68 명」이 일어나기 직 유럽의 지식인들 사이에서 공동체의 가치를 찾기 해 존 렛이 처음 사용한다. 그는 술품을 직 구 매하는 소수의 사람들뿐 아니라 람자들의 동참을 한 공공미술 개념을 공식화하고,「공공미술 자문 원」구성 을 정부에 제안한다. 이후 공공미술이라기보다 건축물의 미 가치를 제고하는 럽 아트(plop art)에 가깝다는 비난을 받는다.9) 1960년 후반부터 공공미술은 규모 상권이 형성된 도시에 투입되고, 무미건조한 도시환경에 흥미와 즐거움 을 주어 시민정서를 반 하는 콘텐츠의 기능을 한다. 한 마천루, 공원, 장에 작품을 설치하여 어반 스 일에 서 느껴지던 화감을 완화시켜 쾌 한 보행로로 과 거리를 좁힌다. 1970년 이르러 술가와 비평가는 미술과 공간 계 에 문제제기로 Street Paving, Street Furniture, Art Rail, Wall Painting Art에서 기 제를 도입한 도시계획 으로 람자를 사용자로 변화시킨다. 1990년 이후 비로소 ‘행동하는 문화와 심미 감수 성이 제된 사회·정치 성향의 미술활동’을 뉴 장르 공 공미술로 명명한다. 모든 매체를 활용하며 도시인의 삶 과 직 연 된 이슈와 소통하여 물리 장소에서 사회 이슈를 분석·비 하는 맥락으로 옮겨진다. 9) John Willett, Art in A City, Liverpool University Press, 2007, p.37 구분 특징 건축 속의 미술 Art in Architecture � 미술작품을 통한 정부 건물의 미 가치 제고 � 랑스 1%법(1951년), 미국 연방정부 공공시설청 ‘건 축 속의 미술 로그램’(1963년) � 순수미술 주 공공장소 속의 미술 Art in Public Places � 공원, 장 같은 지역의 공공장소 활성화 � NEA‘공공장소 속의 미술 로그램’(1967년) � 순수미술 주에서 공공장소의 콘텍스트에 합한 공공미술의 독특한 정체성 형성 도시계획 속의 미술 Art in Urban Design � 도시계획의 요 요소로 공공미술 활용 � 기 제(pooling systme)가 도입됨 � 라 데팡스, 바르셀로나, 필라델피아, 러스, 로스앤 젤 스 등에서 시행하여 문화 인 도시환경 조성에 큰 성과 뉴 장르 공공미술 New Genre Public Art � 미술을 통한 시민간의 커뮤니 이션 확 와 시민문 화공동체 형성을 해 결과보다는 과정 시 � 비디오 제작, 퍼포먼스, 미술공방 운 , 정원꾸미기 등 하드웨어 심에서 소 트웨어 심으로 변화, 장 르도 시각 술의 역을 넘어서 화, 비디오, 공연 등 확장 <표 2> 공공미술의 변화(문화 부, 2005) 3.2. 피겨-그라운드(Figur-Grund)의 환경색채 2장에서 고찰하 듯, 환경색채는 상색채(F)와 배경 색채(G)로 구분한다. 배경색채는 식재와 토양으로 부 분의 식재는 계 변화에서 공통된 순환의 질서를 보인 다. R-B사이의 고유색은 꽃에서만 지각되고, 식재는 Y 계열이 포함되어 B-G사이의 고유색은 실제 자연색채에 존재하지 않는다. 한 식재는 YR계열에서 시작하여 YR계열로 끝난다.10) 반면 도시는 지역별 지, 하늘, 기후 등의 풍토색(風 土色)에서 비롯한 지역색(地域色) 개념에서 벗어나야 한 다. 왜냐하면 재 도시의 지는 차로와 보행로이며, 하늘은 마천루에 가깝고, 시설물과 보행자는 지역색을 무색하게 한다. 특히 조명과 뉴미디어는 빛의 변수를 극 화하여 환경색채의 흐름을 재편성한다. 이러한 환경색채는 ‘피겨-그라운드(Figur-Grund)’ 으로 근하고자 한다. 이는 에드가 루빈이 「게슈탈 트 심리학(Gestalt psychology)」의 시각 지각에서 최 응용했다. 게슈탈트라는 용어는 크리스티안 폰 에 펠스(Christian von Ehrenfels)가 에른스트 마흐(Ernst Mach)의 『감각의 분석(Die Analyse der Empfindungen, 1886)』에서 감을 받은 이후 그라츠 학 (Grazer Schule)에게 인계된 ‘Gestaltqualität’에 유래 한다. 즉 막스 베르트하이머(Max Wertheimer)가 기차 여행에서 구입한 스트로보스코 (stroboscope)11)의 가 10) Karin Fridell Anter, Nature’s colour palette. Inherent colours of vegetation, stones and ground. Stockholm, Scandinavian Colour Institute, 1996, pp.66-69 11) 주기 으로 변화하는 조명을 기 으로 발생시켜, 회 혹은 진동 하는 물체를 측하거나 회 속도, 진동 주 수 혹은 유사한 주기 량을 측정하는 계기. 회 체의 회 주기와 조명의 명멸 주기가 일치하면 회 체는 정지한 듯이 보인다. 따라서 조명의 명멸을 가 감하여 회 체의 회 수(진동체의 진동수)를 측정할 수 있다. 두산 백과사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제25권 3호 통권116호 _ 2016.06116 <그림 3> Rubin's vase effect 구분 유형 속성 A. G-G 표층색채(LC) 선택 지각의 동시성 B. F-F 표피색채(EC) 치 불변의 성 C. F-G 표피색채(EC), 표층색채(LC), 인터랙션색채(IC) 속도와 이동의 유동성 <표 3> F-G의 환경색채 구분 특징 세부 요소 조형성: FO (formativeness) 시각 술의 본질인 이미지(image) 표 심미, 장식, 명시, 시인, 유목 시간성: TE (temporality) 시 조류와 략의 내러티 (narrative) 형성 참여, 소통, 과정 확장성: EX (expandability) 다양한 분야의 콜라주(college)화 흥미, 체화, 기억, 환상 <표 4> 뉴 장르 공공미술의 환경색채 속성 운동(apparent movement)과 선택 지각(selective perception)12)과 비슷한 원리이다. 의 그림에서 A.는 앙의 꽃병(F)과 마주보는 두 얼 굴(G)의 실루엣이 명확치 않은 F-F, G-G의 구조이다. 반면 B.는 F가 꽃병이며 C.는 얼굴의 측면이 F이다. 이 를 환경색채와 연 하여 해석하면 아래와 같다. “A.”는 G-G의 구조다. F와 G를 각각 동시 지각하되, 학습이나 심에 따라 순차 으로 색채를 인식한다. 컨 보행자가 가로등, 표지 , 버스 베이 등에 주목할 경우 순서 로 인식한다. 이 때 F와 G는 서로 뒤바 기 도 한다. 즉 선택 지각에 따른 표층색채(LC)의 동시성을 지각한다. 재 부분의 색채 연구인 공간은 있되 시간 은 없는 찰자 의 경 색채이다. “B.”는 F-F의 구조다. 찰자의 거리와 사용자의 이동 을 배제한 제품디자인의 색채 분석에서 주로 활용하므로 정지된 화면의 균질한 측색인 표피색채(EC)이다. “C.”는 F-G의 구조다. Necker Cube처럼 여러 겹의 F 와 G가 무작 로 첩되어 여러 겹들(F)의 합인 G와 하 나의 F는 서로 계한다. 학계에서 환경색채를 인공색채 와 자연색채로 구분하지만, 녹지율을 고려하더라도 도 시에서는 인공색채는 70%정도이므로 G는 인공색채들의 합으로 이해하는 게 옳다. 속도와 이동의 유동성에 의해 표피색채(EC)-표층색채(LC)-인터랙션색채(IC)를 모두 지각한다. 이처럼 피겨-그라운드의 환경색채는 기 로서 선택지각의 동시성, 치 불변의 성, 속도와 이동의 유동성 등의 속성을 지닌다. 12) 여러 개의 자극이 있을 경우 객 으로 정보의 모든 것을 지각하 지 않고 자극을 선택하여 지각하는 것이다. 3.3. 뉴 장르 공공미술에서 환경색채 요소 본 논문의 2.3 에서 고찰한 바 환경색채는 인간의 생 존과 안 에 직결된다. 도시 디자인에서 환경색채는 미 체험 뿐 아니라 효과 인 정보 달로서 인간의 삶을 지원하는 장치이기도 하다. 그 다면 작품을 매개로 시 민의 참여와 소통으로 상호작용하는 뉴 장르 공공미술의 환경색채는 어떠한지 알아보자. 첫째, 뉴 장르 공공미술은 물질로서 술을 부정하는 비물질 경향은 있으나, 시각 술의 본질을 기본으로 한다.13) 환경색채는 작품이 추구하는 이미지(image)를 직 표 하는 ‘조형성(formativeness)’이 있으며, 심미, 장식, 명시, 시인, 유목의 세부요소가 있다. 둘째, 뉴 장르 공공미술은 술가의 아이디어에서 출 발하지만 도시 정책에 기반을 둔 정부, 련 기 , 시민 단체와 업한다.14) 작품은 더 이상 술가들의 자율 역이 아니며, 시민들과 계하는 삶의 일부로 내러티 (narrative)의 ‘시간성(temporality)’이다. 즉 술가-정 부-시민의 참여와 소통의 과정이 존재한다. 셋째, 뉴 장르 공공미술은 비디오 제작, 퍼포먼스, 미 술공방 운 , 정원꾸미기 등 하드웨어에서 소 트웨어로 변화한다. 이제 사 내부인 갤러리에서 공 외부인 거 리로 나와 화, 비디오, 공연 등 다양한 분야와 수평 으로 융합한다.15) 한 공공미술에서 사용하지 않는 재 료를 사용하거나, 기후·생태·환경·인종·종교·젠더 등 사 회문화 동시 의 담론과 조류를 형 비례나 사실 스 일에서 벗어나 기술한다. 이러한 환경색채는 거 크 기(over-scale)의 언캐니(uncanny) 호기심을 자극하거 나 환상 체화로 잠재된 기억을 끄집어내는 감각의 콜 라주(collage)화로 ‘확장성(expandability)’이 있다. 흥미, 체화, 기억, 환상 등의 세부요소가 있다. 13) http://www.tate.org.uk/learn/online-resources/glossary/n/new-genre-public-art 14) Lacy, Suzanne, Mapping the Terrain: New Genre Public Art. Newyork Thames and Hudson, 1991, p.56 15) Thomas H. Sander, Social Capital and New Urbanism: Leaind a Civic Horse to Water, National Civic Review, vol..91, No.3, 2002, pp.213-234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제25권 3호 통권116호 _ 2016.06 117 NO. 이미지 유형 속성 EC LC IC FO TE EX 1 표 면 색 투 과 색 원 색 빛 이 없 는 어 두 운 거 리 와 야 조 명 의 명시 시 민 과 실 시 간 의 소통 붐 비 는 거 리 에 언 캐 니 한 공 화 장 실 설 치 로 흥미 ⦁디자인 컨셉: 밤에는 매우 시끄럽고 혼 잡한 지역에 병원에서 사용하는 남성용 소변기 80개의 설치로 주변을 환기 ⦁디자인 방법: 의료용 소변기 안에 노랑 물을 담고 LED 조명의 매입 2 투 과 색 공 간 색 나 트 륨 조 명 의 시인 성 짧 은 퍼 포 먼 스 소통 떠 있 는 새 장 의 환 상 체험 ⦁디자인 컨셉: Les Folies 2009 Festival 에 나흘 동안 시로 자연 회기 달 ⦁디자인 방법: 새장 하부에 나트륨 조명 을 매입 3 표 면 색 공 간 색 원 색 어 두 운 밤 에 검 정 강 물 에 하 얀 설 치 물 로 명시 설 치 와 해 체 시 강 을 오 염 시 키 지 않 는 과정 강 주 변 의 물 고 기 , 오리, 어 린 이 용 욕조, 시 민 등 과 체험 ⦁디자인 컨셉: 화와 음악의 Rizoma Film Festival에 작은 마을의 강에 부유시 켜 실주의 설치 ⦁디자인 방법: 총을 맞아 쓰러진 군인 형상의 80개의 부유물의 뉘앙스에 조명 을 매입 <표 6> 작품 분석 4. 러진테럽터스의 작품 분석 4.1. 러진테럽터스의 작품 세계 란시스코 고야(Francisco Jose de Goya), 에두아르 마네(Edouard Manet), 블로 피카소(Pablo Picasso)의 작품에서 보듯 화가의 붓은 때로 군인의 총보다 더 강력 하다. 러진테럽터스는 바로 이러한 힘을 시사한다. 러진 테럽터스(Luzinterruptus)의 의미가 interrupted light에서 비롯되었듯 그들은 ‘빛’과 ‘어둠’으로 환경색채를 기술하 며 원색을 기반으로 투과색, 간섭색, 공간색 등을 선호 한다. 한 시민들과 함께 도시의 밤거리를 캔버스로 빛 을 붓으로 설치한다. 분석 상은 그들의 홈페이지나 페 이스 북, 인터뷰 등에서 환경색채의 아이디어를 언 하 되, 동일한 재료로 비슷한 설치를 할 경우 보다 많이 이 슈화된 작품을 선정한다. NO. 분석 상 년도 1 Public Toilet Intervention, San Ildefonsoof Spain 2009 2 Fishing Light, Maubeuge of France 3 Floating Presences, Molinicos of Spain 2010 4 Malignant Shadows, Madrid of Spain 5 Radioactive Control, Hamburg of Germany 2011 6 Pharmacy Herbs, Madrid of Spain 7 Plastic Garbage Guarding the museum, Geserber Museum of Switzerland 2012 8 Pool on a background of Field of Barley, La Latina of Madrid 9 Literature Versus Traffic, Melbourne of Australia 10 Fishing in Light, Rivas Vaciamadrid of Spain 2013 11 Labyrinth of Plastic Waste, Katowice of Poland 2014 12 Plastic Island, Lumiere of London 2015 13 Rain Interactive, Brentford of London <표 5> 작품 목록 4.2. 러진테럽터스의 사례 조사 본 은 도시의 문제 에 근하되, 도시민의 참여를 독려하는 러진테럽터스의 환경색채를 분석한다. 그들이 빛과 어둠의 계에서 주로 활용하는 인터랙션색채의 을 언 한 작품을 선정하 다. 분석항목은 작품의 개 요를 논한 후 EC, LC, IC의 색채유형을 분석하고, FO, TE, EX의 뉴 장르 공공미술의 환경색채 요소를 분석하 다.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제25권 3호 통권116호 _ 2016.06118 NO. 이미지 유형 속성 EC LC IC FO TE EX 4 표 면 색 가 로 등 이 없 는 거 리 에 조 명 필 요 성 의 명시 보 행 자 와 조 용 한 소통 움 직 이 는 그 늘 + 그 림 자 로 흥 미 유발 ⦁디자인 컨셉: 인종·젠더·폭력·섹슈얼리 티를 그림자 화가인 카라 워커(Kara Waler)의 회화처럼 검정 마분지와 10개의 와이어 모빌을 이용하여 그림, 화와 다 른 이미지 구 ⦁디자인 방법: 램 로 보행로의 어두운 벽면에 그늘+ 그림자 형성 5 표 면 색 공 간 색 원 색 인 간 크 기 의 오 제 로 유목 병 원 자 원 사 자 와 5 일 동 안 설 치 로 참여 천 으 로 을 가 리 고 테 이 로 입 을 막 는 언 캐 니 밸 리 체화 ⦁디자인 컨셉: 시 가 당면한 최 과제 인 방사능과 원자력 발 소 험성과 공 포의 시각화를 특수보호장비를 한 인간 크기의 오 제 활용으로 30일간 Dockville Festiva에 설치 ⦁디자인 방법: 백개의 LED와 일루미네 이트 6 공 간 색 원 색 거 리 를 록 색 으 로 변 화 시 키 는 심미, 장식 Cris 와 Alex 의 도 움 으 로 설 치 해 체 참여 형 막 기 의 잡 체험 ⦁은하와 별을 볼 수 없는 빛 공해에서 착안하여 잡 (형 막 기)를 약국표지 으로 활용, 이 막 는 인공조명을 합 성으로 성장 ⦁디자인 방법: 록 색조의 형 막 기 는 풀을 형상화 7 표 면 색 투 과 색 공 간 색 원 색 거 조 명 의 유목 재 료 기 부 로 참여 풍 선 조 명 의 체화 ⦁디자인 컨셉: 박물 에 버린 비닐, 물 병과 시민이 기부한 쓰 기 안에 조명, 헬륨을 주입 후 끈으로 연결하여 Oh, Plastiksacki Exhibition에 4개월간 풍선조 명 설치 ⦁디자인 방법: 오천 개의 색색 비닐 안 에 조명 매입 NO. 이미지 유형 속성 EC LC IC FO TE EX 8 투 과 색 간 섭 색 공 간 색 원 색 랑 조 명 으 로 시인 성 어 린 이 들 과 부 모 들 의 공 동 설 치 참 여 소통 흥 미 와 체 험 의 유발 ⦁디자인 컨셉: 빈부격차 없이 즐길 수 있는 문화센터 리모델링이 럭셔리 쇼핑 몰 사업으로 변한 곳에 보리밭을 깔고 그 에 6×4m 공공수 장 조성 ⦁디자인 방법: 2천 개의 유리컵, 병 안 에 랑색 물과 조명 매입 9 원 색 어 두 운 계 단 과 거 리 에 서 시인 무 슨 일 이 벌 어 지 는 지 물 어 가 며 실 시 간 동 참 과 소통 체 화 와 낯 선 환상 ⦁디자인 컨셉: 공공도서 에서 페기 처 분한 만권의 책으로 사 공지 없이 게릴 라성 설치로 바쁜 도시인들에게 독 서의 가치 달과 책-사람, 어둠-빛, 문 학-정체성 ⦁디자인 방법: 책 한권에 각각 2개씩의 LED 조명 활용 10 투 과 색 간 섭 색 원 색 색 색 의 유목 용 기 를 직 설치, 반 환 하 는 참여 직 인 공 물 고 기 를 잡 는 흥미, 기억, 체화 ⦁디자인 컨셉: 다양한 모양, 색상의 라스틱 인공호수에 인공물고기를 가득 채워 환경 이슈화 ⦁디자인 방법: 라스틱 안에 담긴 물에 굴 , 증폭 11 투 과 색 간 섭 색 공 간 색 원 색 거 조 명 의 유목 직 시 민 의 설 치 와 해 체 로 재 활 용 의 체험, 소통, 참여 빛 의 미 로 체험 ⦁디자인 컨셉: 하루 소비되는 육천 개 물병, 비닐, 라스틱 등 재활용 가능한 제품을 7×5m 속모듈 안에 미로 형태로 Katowice Street Art Festival 설치 25명 이상 시민들이 시간 별로 규칙 설치 후, 3일 동안 해체 ⦁디자인 방법: 주조색인 neon-blue, light-green로 조율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제25권 3호 통권116호 _ 2016.06 119 NO. 이미지 유형 속성 EC LC IC FO TE EX 12 표 면 색 투 과 색 어 두 운 바 다 에 조 명 으 로 유목 열 흘 동 안 시 민 참여 물 에 떠 다 니 는 쓰 기 기억 ⦁디자인 컨셉: 4만 톤의 라스틱 병으 로 10×15m의 직사각형 형에 5천개 조 명 설치로 여덟 번째 륙을 생성하여 해양생물의 죽음과 생태계 괴 방지 달 ⦁디자인 방법: 라스틱 병에 다른 작품 에 비해서는 조도가 낮은 루미네이트 활 용 13 투 과 색 간 섭 색 원 색 거 인 보 우 조 명 의 유목 시 민 들 과 함 께 설치 언 캐 니 한 체화 ⦁디자인 컨셉: 3천개의 콘돔 안에 랑 잉크와 조명을 담아 삶의 원천 표 ⦁디자인 방법: neon-blue를 임에 매 달아 조형성 확 4.3. 소결 2008년부터 인간의 삶과 근 한 일회용품과 직 제작 한 조명을 활용하여 도시환경과 사회문화 반에 문제제 기를 주도하는 러진테럽터스는 도시에서 직 시민들과 함께 설치한다. 이 정크 아트(junk art)는 일반인들이 뉴 장르 공공미술에 쉽게 근하고 참여하는 과정에서 다양 한 분야의 사람들과 소통하고 체험하면서 체화되고 잠재 된 기억의 콜라주화가 일어난다. 「Public Toilet Intervention」,「Fishing Light」에서 알 수 있듯 기에는 외부의 도움 없이 내부 으로 작업 을 진행한다.「Floating Presences」부터 주변 환경을 극 으로 활용하며, 「Radioactive Control」에서 본격 으로 러진테럽터스의 술가 집단 외의 사람들에게 도움 을 받는다. 컨 「Labyrinth of Plastic Waste」, 「Plastic Island」,「Rain Interactive」은 지역 주민들이 직 물병을 기부하고「Plastic Garbage Guarding the museum」에서는 실제 생활 쓰 기와 기부 받은 일회용 품으로 거 풍선을 만들고,「Rain Interactive」는 콘돔 을 활용한 삶의 원천을 언 한다. 「Pool on a background of Field of Barley」부터 작품설치 시 시민 들의 도움을 극 으로 받아 도시재생의 새로운 소 트 웨어를 연출한다. 이처럼 도시재생은 작가의 아이디어를 기반으로 하지만, 그 외의 콘텐츠는 일반인들과 업하 는 특징이 있다. 기에는 EL, LC의 환경색채 유형이 두드러지나 2011 년부터 IC를 극 으로 활용한다. 국내는 공공미술품조 차도 명도, 채도의 색조를 비롯한 모노톤을 지향하 여 주변경 과 비슷한 톤의 미술품을 설치하도록 일 처리하는 반면, 러진테럽터스는 고명도, 명도, 고채도 를 극 으로 활용하고 있다. 분석에 따르면 그들의 색 채가 고명도, 명도, 고채도가 주를 이루어도 주변경 에 해되지 않는 이유는 바로 투과색과 간섭색을 활용 한 매스색채의 이해가 기 에 깔려있기 때문이다. 한 각기 다른 형태가 무작 로 군집을 이룬 거 한 조명으 로 피겨-그라운드를 용한 빛과 그림자의 톤과 셰이드 를 활용하기 때문이다. 그들의 작품은 직 참여하여 체 화하므로 이미지의 조형성, 당 의 시간성, 업에 의한 확장성 등이 존재한다. 5. 결론 러진테럽터스의 뉴 장르 공공미술에서 환경색채의 역 할은 일반 인 공공미술이 추구하는 미 체험이나 조화 로운 도시경 의 연출이 아니다. 그들은 기 환경색채 아이디어를 제외하면, 설치부터 철거까지 시민들이 몸소 참여하여 나와 타자의 차이를 깨닫는데 을 맞춘다. 이러한 과정은 작품이 추구하는 문제의식을 상기시는 주 요 가치이다. 따라서 동시 의 아젠다를 주변에서 쉽게 볼 수 있는 일회용품이나 생활쓰 기에서 착안하여, 상 징 인 오 제로 연출하는 내러티 를 모색한다. 그 기 때문에 그들은 시각 술의 기 인 조형성을 조명과 색채 로 환원시키되, 시민들의 참여와 소통을 존 한다. 시민 들에게 개방된 설치 작품은 공통의 심사를 보이는 사 람들 뿐 아니라, 거리를 지나는 도시민들에게 환상 인 빛과 오버스 일의 오 제로 낯선 흥미를 유발시켜 잠재 된 기억을 상기시킨다. 수많은「색채가이드라인」과 지자체별로 「 표색」이 각축을 벌이고 있는 재, 도시의 올바른 팰럼시스 트(palimpsest) 방향은 수직 정책과 사업진행이 아님 을 본고를 통해 알 수 있었다. 한 공공 역은 사 역의 응물이 아니라 사 역의 부분으로 이해하고 체 화한 도시민을 포함해야 하는 것도 알 수 있었다. 이를 반 하듯 국내의 도시재생 사업에서 환경색채에 심은 높은 반면, 찰자 심의 경 색채에만 머무르는 한계 가 있다. 하드웨어에서 소 트웨어로 진화하는 뉴 장르 공공미 술은 무형의 인 라스트럭쳐로 창조도시를 한 안 하나가 될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도시 정책과 략 수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제25권 3호 통권116호 _ 2016.06120 립의 물리 인 에서 탈피하여 미술가, 색채 문가, 도시계획가, 환경디자이 , 건축가, 사회문화 문가들의 력이 형식 차원을 넘어선 상호 업이 필요하다. 특 히 도시의 수직 경 뿐 아니라 인간의 삶을 담은 수 평 참여와 소통의 요성을 깨닫고 쾌 한 환경을 한 가치가 무엇인지 사고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해야 한 다. 이에 본 논문은 무형의 인 라스트럭처의 도시재생 을 지향하는 시 에서 환경색채와 련된 후속 연구에 기 석으로서 자리 잡기를 견한다. 참고문헌 1. 김선 , 마크 로드코의 색면추상에 표 된 색의 확장성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제29권 1호, 239-246, 2013 2. 김선 , 건축의 시-공간석 색채체계 연구1, 한국색채학회논 문집, 제30권 1호, 1-14, 2016 3. 김홍기, 환경색채계획론, 이화여자 학교 출 부, 2001 4. 문화 부, 새 술정책-시각 술분야, 2005 5. 박정은, 신도시 환경색채계획 기본지침에 한 연구, 한국색 채학회논문집 가을학술 회, 37-41, 2009 6. 齋藤純一, 公共性の政治理論, ナカニシヤ出版, 2010 7. Katz, David, The World of Color, London: Routlede, 1999 8. Rubin, Edgar, Synsoplevede Figurer, Copenhagen: Gyldendalske, 1915 9. Arendt, Hannah, The Human Condition, Chicago: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58 10. Rousseau, Jean-Jacques, Emile, CreateSpace Independent Publishing Platform, 1762 11. Heinrich Lambert, Johann, Neues Organon, University of Michigan Library, 1764 12. Willett, John, Art in A City, Liverpool University Press, 2007 13. Habermas, Jürgen, The Structural Transformation of the Public Sphere: Inquiry into a Category of Bourgeois Society, The MIT Press; Reprint edition, 1991 14. Habermas, Jürgen, The Theory of Communicative Action, Volume 1: Reason and the Rationalization of Society, Beacon Press, 1985 15. Fridell Anter. Karin,. Nature’s colour palette. Inherent colours of vegetation, stones and ground. Stockholm, Scandinavian Colour Institute, 1996 16. Mumford, Lewis, The City in History: Its Origins, Its Transformations, and Its Prospects. Mariner Books, 1968 17. Barthes, Roland, La Chambre Claire. notes sur la photographie, 1980 18. Lacy, Suzanne, Mapping the Terrain: New Genre Public Art. Newyork Thames and Hudson, 1991 19. http://www.echelman.com/ 20. http://practicalandrogyny.com/2011/06/25/the-necker-cube-symbol-for-androgyny/ 21. http://www.dezeen.com/ 22. http://www.luzinterruptus.com/ [논문 수 : 2016. 04. 20] [1차 심사 : 2016. 05. 20] [2차 심사 : 2016. 05. 25] [게재확정 : 2016. 06. 10]